긍정의뉴스

김수민 시의원 구미.칠곡 통합 반대의사 밝혀

긍정의 뉴스 2013. 3. 20. 10:19

-  시사IN을 통해 통합 반대입장과 대안 밝혀




김수민 구미시의회 의원(인동동.진미동/녹색당+)이 최근 구미.김천.칠곡 통합추진위원회에서 주장하고 있는 시군 통합론에 대해 시사주간지 <시사IN> 를  반대 입장과 그 대안을 밝혔다.

김의원은 "양쪽간의 연계는 필요하다"는 전제하에 행정구역통합에 반대 의사를 피력했다. 생활권이나 경제권은 복합적이고 가변적이라 행정구역개편으로 따라잡을 수 없으며, 교통과 통신의 발달의 구역통합의 기반이 아니라 거꾸로 굳이 행정구역을 합치지 않아도 되는 이유라는 것이다.

또한 한국의 기초지자제 인구는 이미 세계에서 가장 큰 편으로, "비대한 기초지자체는 불친절하며 풀뿌리민주주의를 구현하는 주민자치단위로는 걸맞지 않다"는 것이 김의원이 꼽은 통합 반대의 핵심 명분이다.

현재 한국기초지자체의 현실을 그네 마그리트의 그림에 비유하며 "이것은 기초지자체가 아니다"라고도 표현했다.

김의원이 이외에 든 반대 논거는 ▲국내외에서 구역통합을 이뤄온 도시들이 통합효과로 인해 경제발전을 이뤘는지 의문이고, ▲단층행정구조가 효율적이라는 통합론의 주장은 엉성할뿐더러 오히려 비효율적이었다는 게 학계 지적이 많으며, ▲시·군통합에 따라 광역지자체가 해체되거나 무력화되면 중앙정부의 지방 지배가 강해진다 등이다.

김의원은 “구미 강동 주민으로서도 반대한다”고 밝히기도 했다. 원도심에서 강을 건너 공장지대를 지나야 들어올 수 있는 이 지역 주민으로서 행정이 세심하게 와닿지 못하는 것을 자주 느꼈고, “여기서 시가 여기서 더 커진다는 것은, 더 멀어진다는 것”을 뜻하기 때문이다.

이어 김의원은 “덧셈보다 나눗셈”이라며 “칠곡군민과 구미시민이 산업경제, 대중교통, 문화예술 및 축제, 공공시설 공동사용 등을 두고 민관을 아우르며 여러 가지 모색과 실천을 할 수 있다”고 예시했고, 지방자치법이 보장하는대로 지자체조합을 설립해 공동사무를 처리하는 방안도 제시했다.

상생과 화합에는 통합책만 있는 게 아닌데 ‘전무 아니면 전부’라는 식은 시간과 열정의 낭비를 불러올 것이라고 우려한 김의원은 칼럼 종반부에서 자신이 제시한 대안들이 “통합추진주체들에게도 유용”할 것이라며 역으로 제안하기도 했다.   

김수민 의원은 지난해 3월부터 의정활동 및 풀뿌리운동을 하며 경험하거나 고민한 바를 한 달에 한 번 꼴로 <시사IN> ‘풀뿌리수첩’에 연재해왔다. 

한편, 구미.김천.칠곡 통합추진위원회는 3월4일 구미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가졌으며, 18일에는 구미상공회의소에서 시민 공청회를 하고 지역민들에게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.



[관련뉴스]
구미.김천.칠곡 통합 찬.반 열린공청회 개최
구미.김천.칠곡 통합이 살길인가?

긍정의뉴스